[1일1뉴스]7일차 디지털 전환시대.... 종합 금융플랫폼으로
https://www.get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566511
[2022 금융 키워드②] 디지털 전환시대…‘종합금융플랫폼’으로 도약 예고 - 글로벌경제신문
코로나19 이후 디지털 전환 시계가 빨라지면서 은행 등 금융사들이 2022년 종합금융플랫폼 기업으로의 도약에 박차를 가한다.막강한 파급력과 이용자 수를 기반으로 한 플랫폼을 무기로 금융 시
www.getnews.co.kr
배경
1) 코로나 19 이후 디지털 전환 시계가 빨라짐
2) 막강한 파급력과 이용자 수를 기반으로 한 플랫폼 경쟁력 - 카카오, 네이버 빅테크 기업 경쟁 심화
전사적 "디지털 전환"
1) 대규모 조직개편 2) 인재 영입 및 양성 3) 시스템 개선
사례
- KB금융 그룹
연말 조직개편을 통해 디지털플랫폼총괄(CDPO) 산하 '디지털콘텐츠센터'와 디지털 플랫폼 품질관리 전담조직인 '플랫폼QC 유닛'을 신설했다. KB금융의 핵심 계열사인 KB국민은행 역시 ‘디지털콘텐츠센터’를 신설하고, 금융플랫폼본부도 새롭게 만들었다. 빅테크에 대응해 KB플랫폼의 성장 발판을 마련하기 위한 조직으로 ‘디지털신사업본부’도 신설했다.
ㄴ KB 국민은행
KB국민은행은 보다 확장된 생활금융 서비스를 제공하는 차원에서 내년 상반기 모바일뱅킹 앱을 통해 ‘전자문서 서비스’를 선보인다는 계획이다. 이를 통해 고객들은 기존에 종이 우편으로 받던 국민연금 가입내역·건강보험납입내역 등 중요문서들을 전자문서 형태로 받을 수 있게 된다.
- 신한은행
신한은행은 디지털 혁신 조직인 디지털혁신단을 데이터기획 유닛, 데이터사이언스 유닛, 혁신서비스 유닛, 데이터플랫폼 유닛으로 개편해 역할을 재정립했다.
신한은행은 배달음식 주문 플랫폼 앱인 ‘땡겨요’ 출시를 통해 금융권 최초로 배달앱 시장에 도전장을 던졌다. 가맹점 입점 수수료와 광고 비용을 받지 않고 중개 수수료도 공공 배달앱 수준인 2%대로 낮춰 빠른 시장 안착을 노리고 있다.
- 우리금융그룹
우리금융그룹은 자동차금융 통합 플랫폼을 선보였다. 우리금융캐피탈을 중심으로 우리은행, 우리카드 등 3개 자회사가 참여한 프로젝트로, 한 번의 조회로 신차대출, 중고차대출, 신용대출, 전환대출 등 금융상품을 통합 제공하고 맞춤형 금융상품도 추천해주는 서비스다. 본인 명의의 차량번호를 등록하면 차량정보, 내차시세, 정기검사일정 등 차량 관리 서비스도 이용할 수 있다.
ㄴ 우리은행
우리은행은 편의점 세븐일레븐과 제휴를 맺고 모바일뱅킹 앱을 통해 편의점 상품을 주문·배달해주는 ‘My 편의점’을 은행권 최초로 시작했으며, 지난 8월부터는 택배 예약부터 결제까지 원스톱 종합택배플랫폼 ‘My택배’ 서비스도 제공 중이다.
- 하나 은행
하나은행은 디지털리테일그룹 내 ‘DT혁신본부’를 신설해 디지털 전환의 컨트롤 타워 기능을 강화했다.
자동차 금융플랫폼 카동과 업무제휴를 맺고 차종·옵션에 따른 견적을 간편하게 산출할 수 있는 ‘신차 견적 서비스’를 지난 10일부터 모바일뱅킹 앱에 탑재했다. 이를 통해 자동차 금융은 물론 세제 혜택, 각종 지원금 제도까지 한 번에 확인할 수 있다. 이외에도 하나은행은 앞서 중고차 직거래 서비스를 내놓은 데 이어 중고차 직거래 경매 서비스까지 추가로 선보인 바 있다.
→ 생활밀착형 비금융 서비스 확대
플랫폼 경쟁력 위함
당장의 수익성에 도움이 되지 않더라도, 생활밀착형 서비스를 하나둘 장착해 나감으로써
중장기적인 관점에서 새로운 고객을 유입시키고 비금융 데이터를 최대한 확보하겠다는 전략
1) 이를 기반으로 경쟁력 있는 차별화된 상품 및 서비스를 만들어내고
2) 카카오, 네이버 막강한 플랫폼을 보유한 기업에 종속되지 않도록 독자적인 종합금융플랫폼으로 거듭나고자함
금융과 비금융의 경계가 모호해지는 빅블러 시대
금융당국 : 규제 완화를 통해 은행권 디지털 전환과 플랫폼화 촉진을 위한 지원사격을 예고
금융위원회 : 2022 업무 계획 발표를 통해 은행들이 원활하게 신사업에 진출할 수 있도록 플랫폼 사업 등 부수업무 확대를 검토할 계획, 규제를 면제하거나 유예시켜주는 규제 샌드박스 제도를 활용해 지원하겠다는 방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