클라우드 컴퓨팅 : IT 자원을 구매하거나 소유할 필요 없이 필요한 만큼 사용료를 주고 쓰는 서비스

-> 인터넷을 통해 서비스를 받아 소프트웨어나 프로그램을 자유롭게 빌려쓰는 것

 

IaaS 서비스로의 인프라

: 서드파티 업체가 제공하는 고도로 자동화되고 확장 가능한 IT 인프라

스토리지, 호스팅, 컴퓨팅, 네트워킹 등이 포함되어 있고 비용은 사용한 만큼만 지급하면 되는 구조

IaaS를 통해 소프트웨어 라이선스와 서버 등 IT 자산을 직접 소유하는 대신 필요에 따라 리소스를 유연하게 대여 가능

 

데이터 센터를 구축하는 대신 클라우드를 이용하여 필요한 컴퓨팅 인프라를 사용하는 것

사용자는 서버나 스토리지를 구입/운영하는 비용을 줄일 수 있음

클라우드 환경에서 필요한 인프라를 꺼내 쓸 수 있는 것

이렇게 빌려온 인프라에서 사용자는 운영체제를 설치하고, 애플리케이션을 설치한 다음 원하는 서비스를 운영 가능

 

PaaS 서비스로서의 플랫폼

: IaaS를 포함하여 개발툴과 기능, 애플리케이션 배포 등을 안전하게 제공하는 것

미들웨어, 데이터베이스 관리, 애널리틱스 혹은 운영체제가 포함되어 있음

개발자가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하고 배포하는데 필요한 모든 것을 PaaS가 대신 해주어, 개발자는 기반 인프라스트럭처를 전혀 프로비저닝할 필요가 없음

PaaS의 기반이 되는 인프라스트럭쳐는 제공하는 모델에 따라 차이가 있음

ex) 오라클과 AWS는 사용자가 자사 인프라에서 작업하도록 유도, 

SAP 클라우드 플랫폼의 경우 AWS와 애저, GCP 클라우드 인프라 스트럭처에서 모두 사용할 수 있고

레드햇의 오픈시프트 역시 SAP과 동일

 

SaaS 서비스로서의 소프트웨어

: 서드파티가 호스팅 방식으로 소프트웨어를 제공하는 것

필요한 소프트웨어를 설치없이 웹에서 이용 가능한 형태, 

비용만 내면 어디서든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

SaaS는 중앙에서 해당 소프트웨어를 관리하기 때문에 사용자가 일일이 패치, 업그레이드할 필요가 없음

 

웹을 통해 접속해 로그인하기만 하면 사용할 수 있으며, 사용자 혹은 시트를 기준으로 구독방식으로 과금됨.

 

기존에는 머신 혹은 서버를 기준으로 소프트웨어 라이선스를 구매하여 직접 설치해 사용했으나 이와는 차별화되어 모든 것을 관리해줌.

 

대표적인 SaaS 서비스는 구글 앱스, MS 오피스 365, 드롭박스 등이 있다.

 

 

참고 ** 쏘유익

https://m.blog.naver.com/PostView.naver?isHttpsRedirect=true&blogId=futuremain&logNo=221360648846 

 

[클라우드] IaaS - SaaS - PaaS 모델의 차이

IaaS - SaaS - PaaS 의 차이 IaaS : 서비스로인프라 (Infrastructure-as-a-service) IaaS 는 가...

blog.naver.com

 

+ Recent posts